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예감의 실현 3

시는 상징이다/ 김주연

시는 상징이다 김 주 연(문학평론가) 상징이 뭘까. 아주 쉽게 말해서, 그 글에서 쓰여진 언어가 지시어(指示語)가 아닌, 지시된 사물과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 혹은 추상어를 구체적인 사물로 표시하는 것. 가령 사람을 보고 "당신은 꽃이다" 라고 적는다면, 당신 곧 꽃이라는 사물이 아니라 꽃과 같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때 "당신은 꽃과 같은 사람이다"라고 적는다면 그것은 시가 아니다. 적어도 '시적 詩的'이지는 않다. 너무도 당연해 보이는 이런 말을 새해 아침부터 늘어놓는 까닭은? 수 만명을 헤아리는 시인들이 우리 시단을 풍성하게 해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징의 빈곤, 그 상징을 가능케 하는 상상력의 결핍을 느끼기 때문이다. 상징과 상상력은 궁핍한데 시와 시인은 많다? 대체 어떤 시와 시인들일까..

詩 이모저모 2022.01.06

질문의 언어, 문학/ 김주연

질문의 언어, 문학 김주연(문학평론가) 20년 전, 성민엽 교수가 엮어 펴내준 《김주연 깊이 읽기》라는 책에서 "나에게 있어서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글을 써야 할 기회가 있었는데, 나는 쓰지 못했다. 나에게 있어서 문학이란 무엇인지 딱히 이렇다고 말하기 힘들었던 것일까. 문학이란 무엇인지 여러 사람들의 글을 모은 편저를 출판한 일이 있었는데도, 무엇보다 30여 년 문학 선생을 하면서 숱한 강의와 강연을 해오면서도 막상 자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고백의 요구는 은연중 피해 왔던 모양이다. 그러나 60년 가까운 평생 문학평론가로 살아왔으니 이제 더는 피할 수 없게 된 것 같다. 이 상황이 내게 분명한 답을 이제 마련해 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확실한 것은, 분명한 답 대신 문학이 내게 무엇인지 끊임없이..

책 이야기 2021.11.11

미니멀 투어 스토리 만들기 /김주연

『미니멀 투어 스토리 만들기』 김주연 저/ 문학과지성사 ○책 소개 문단 생활 반세기, 끝없는 긴장과 논쟁적 성찰로 문학의 위기 속에서 문학의 행복을 꿈꾸다 올해로 등단 46년을 맞은 문학평론가 김주연이 『근대 논의 이후의 문학』(2005) 이후 7년 만에 펴낸 열두번째 비평집. 반세기 가까이 4.19세대 비평 그룹의 핵심 일원으로 인문주의자의 냉철한 지성과 총체적 성찰, 엄정한 평론으로 한국문학의 현장에서 큰 울림의 목소리를 견지해온 저자는 더욱이 올해 초까지 3년간 한국문학번역원장으로 재직하며 세계문학 속에 한국문학의 소통과 교류를 위해 제일선에서 분투해왔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 이론이 득세하면서 세대와 장르, 국경의 모든 경계가 점차 허물어지고 한 개의 언어인종이 지닌 고유의 특질, 토속성보다는 글..

책 이야기 2018.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