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문화예술 이야기

Pale Blue Eyes /Velvet Underground

금동원(琴東媛) 2015. 11. 7. 21:15

 

 

 https://youtu.be/KisHhIRihMY

 

 https://youtu.be/8Z3RgoukUEk 

 

Pale Blue Eyes 깊고 푸른 눈

 

 Sometimes I feel so happy,
Sometimes I feel so sad.
Sometimes I feel so happy,
But mostly you just make me mad.
Baby, you just make me mad.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때론 기쁘고, 때론 슬프고
또 때론 기쁘지만,
대부분 당신은 절 미치게 만들어요
당신에게 푹 빠졌어요
당신의 깊고 푸른 눈

 

Thought of you as my mountain top,
Thought of you as my peak.
Thought of you as everything,
I've had but couldn't keep.
I've had but couldn't keep.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당신은 나의 산봉우리이고,
나의 정상이고,
나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한 때는 나의 사람이었지만,
영원히 가질 수는 없죠
당신의 깊고 푸른 눈동자가
아른거려요

If I could make the world as pure and strange as what I see,
I'd put you in the mirror,
I put in front of me.
I put in front of me.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이 세상을 내가 보는 것처럼
순수하고 낯설게 만들 수 있다면,
당신을 거울 속에 넣고
내 앞에 두겠어요
당신의 깊고 푸른 눈동자가
아른거려요

Skip a life completely.
Stuff it in a cup.
She said, "Money is like us in time,
It lies, but can't stand up.
Down for you is up."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지금의 삶은 내팽개쳐 버리고
컵 속에 집어 넣어 버려요.
그녀는 돈은 결국
우리와 같다고 했죠.
누워 있지만 일어설 순 없다고...
당신은 모든 걸 반대로 생각해요
당신의 깊고 푸른 눈동자가
아른거려요

It was good what we did yesterday.
And I'd do it once again.
The fact that you are married,
Only proves, you're my best friend.
But it's truly, truly a sin.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Linger on, your pale blue eyes.
 
지난날 우린 정말 즐거웠어요
다시 그 즐거움을 느끼고 싶어요
당신이 결혼했다는 사실은
우리가 단지 친구라는 걸
증명할 뿐이죠
하지만 그건 정말 죄악이에요
당신의 깊고 푸른 눈동자가
아른거려요

  아트 록

   1960년대말에 생겨 1970년대 초·중반에 유행한 록 음악의 한 양식.

  아트 록은 때로 프로그레시브 록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프로그레시브 록의 정의는 '지적인' 앨범을 추구했던 제네시스, 킹 크림슨, 핑크 플로이드, 예스 같은 영국 밴드들의 록 음악을 가리킨다. 이에 반해 아트 록은 2가지 스타일의 록을 포괄하는 의미로 쓰인다. 하나는 고전음악의 영향을 받아들인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ELO), 에머슨과 레이크 및 팔머(ELP), 젠틀 자이언트, 무디 블루스, 프로콜 해럼 등의 영국 밴드들에 의해 구현된 록 형식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영국 포크 뮤직과 프로그레시브 록을 가미하여 퓨전 스타일의 록을 창조했던 제스로 툴과 스트로브스 그룹의 음악 형식을 가리킨다.

  이들 밴드는 그들 음악에 복잡하면서 개념적인 접근방법을 규칙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가장 일반적인 정의에 의해 아트 록으로 분류되는 밴드들 간에는 뮤지션들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웠다. 여러 밴드에서 활동하였던 대표적인 뮤지션으로는 빌 브루포드(예스, 킹 크림슨, 유케이에서 활동)와 스티브 하우(예스와 아시아에서 활동), 그레그 레이크(킹 크림슨과 ELP에서 활동), 존 웨튼(킹 크림슨, 유케이, 아시아에서 활동)이 있다.

  또한 로리 앤더슨, 데이비드 보이, 브라이언 이노, 벨벳 언더그라운드, 프랭크 자파 같은 미국과 영국의 아티스트가 시도하였던 실험적 록의 몇몇 부분 역시 아트 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1965년 비틀스는 멀티트랙 레코딩과 고전음악 형식의 편곡이나, 전위예술적 혹은 실험적인 효과를 록 음악 작곡에 이용하는 모험을 시도하였다. 미국의 실험적인 록 음악 작곡가인 프랭크 자파의 발명의 어머니(Frank Zappa's Mot hers of Invention)의 데뷔 앨범이 1966년에 나왔고, 그로부터 2년 후에는 캐러밴 , 제스로 툴, 무디 블루스, 나이스 , 핑크 플로이드, 프리티 싱스, 프로콜 해럼과 소프트 머신이 아트 록 스타일의 앨범을 발표했다.

  이런 음악의 많은 부분들이 리듬 앤 블루스나 이클렉틱 팝으로 표현되는 소위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바탕이 되는 부분을 몽환적이거나 아방가르드한 경향 또는 고전음악적 경향들과 결합시킨 것이었다. 1972~74년에 제네시스, 킹 크림슨, ELP와 예스(이들은 모두 1969~70년에 데뷔하였음)는 앨범 양쪽 면을 모두 채운 야심찬 모음곡을 발표하였다. 이 그룹들은 록 밴드의 표준적인 구성(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과 보컬)에 종종 멜로트론(Mellotron : 관현악 사운드에 종종 이용되는 tape-loop 기반의 건반악기)이나 오르간, 피아노, 초기 형태의 신시사이저들을 덧붙여서 이를 밴드의 특징으로 삼았다.

  아트 록 뮤지션들 중의 많은 이들이 고전음악에 대한 훈련을 받은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하이테크 전자 보조장치에서부터 전통적인 악기까지 모두 다룰 수 있었기 때문에 키이스 에머슨(ELP 멤버)과 릭 웨이크맨(예스 멤버) 같은 건반악기 연주자들의 역할에도 변화가 있었다. 그 변화는 단순하게 밴드의 지원 역할을 하는 건반악기 연주자에서 밴드의 특징을 만들어가는 역할로의 이동이었다.

아트 록은 복잡하고 잦은 리듬 변화, 사회정치적 내용부터 공상과학적 주제에 이르는 상상력이 돋보이는 가사, 그리고 통일되고 확장된 노래구조(콘셉트 앨범의 형태에서 종종 나타남)로 특징지어졌다.

  교향악단이 포함되기도 하는 고전악기의 편성, 편곡한 클래식 작품을 록 밴드가 연주하는 의사(擬似) 관현악단 앙상블 또한 널리 퍼졌다. 아트 록은 음악과 가사에서 보여주는 탁월한 기량과 난해함으로 광범위한 호소력을 얻었다. 아트 록 뮤지션들은 춤곡보다는 주의 깊은 감상을 끌어낼 수 있는 음악을 만드는 데 우선 목표를 두었다.

  이 음악과 어울리는 쇼 무대 및 앨범 디자인 또한 예술적 경향성을 가진 십대와 젊은 층에게 호소력 있게 다가갔다. 특히 밴드 예스를 위해 로저 딘이 디자인한 앨범은 정교함이 돋보였다. 1970년대 초에 있었던 제네시스의 공연은 시각적인 부분이 더욱 강조된 쇼로 평가받았다. 리드 싱어인 피터 가브리엘은 공상적 분위기의 현란한 의상을 입고 공중에서 내려와 오페라 형식의 무대장치가 설치된 무대에서 정중하게 인사했다.

  1970년대말과 1980년대초에 각각 영향력을 가졌던 영국 아트 록 밴드인 유케이(U.K.)와 마릴리온의 출현과 제네시스, 킹 크림슨, 예스, 핑크 플로이드와 ELP(이들은 아트 록 각각의 경향을 대표함)가 꾸준하게 활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트 록의 경향성들은 영국과 미국의 팝 록과 아시아, 보스턴, 포리너, 저니 , 캔자스,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 퀸, 스틸리 댄, 스틱스, 슈퍼트램프, 캐나디언 밴드 루시 같은 하드 록 그룹들에 의해서 고작 1970년대 중반을 넘기는 데 그쳤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록시 뮤직, 피터 가브리엘, 케이트 부시 같은 '예술적인' 영국의 팝 록 아티스트들과 메탈리카와 드림 시어터 같은 1980~90년대 미국의 헤비 메틀 밴드들도 아트 록 스타일이 유행하기 이전부터의 스타일리스트한 특색들을 모색하였다.

캡튼 비프하트와 벨벳 그라운드, 프랭크 자파 같은 뮤지션들이 보여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의 독특하고 실험적인 록도 때로는 프로그레시브 록적인 경향에 포함되기도 한다. 물론 이는 이들이 아트 록을 표방하고자 했다기보다는 우연에 의한 결과였다. 엠비언트 음악 작곡가이자 록 프로듀서이며 록시 뮤직의 전 멤버이기도 했던 브라이언 이노는 1970년대말과 1980년대 초반에 미국의 록 밴드인 토킹 헤즈와 함께 작업하였고, 영국의 이클렉틱 록 가수 데이비드 보이와도 공동작업을 하였다.

  이 공동작업은 다른 대중음악 장르에 아트 록의 특색을 훌륭하게 결합시킨 전형이 되었다. 미국의 전위 아티스트 로리 앤더슨의 1970~90년대 음악과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인 토리의 1990년대 음악에서도 아트 록의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노와 앤더슨 작품의 많은 부분은 미니멀리즘과도 연결되어 있다.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말과 1970년대 예술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1990년대 테크노 음악의 팝-미니멀리즘에도 영향을 끼쳤다.

(출처: 다음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