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책 이야기

릴케의 로댕/ 라이너 마리아 릴케

금동원(琴東媛) 2017. 6. 6. 21:46

 

 

『릴케의 로댕』

- 라이너 마리아 릴케 저/안상원 역 | 미술문화

 

 ○작가소개

   Rainer Maria Rilke 1875년 프라하에서 미숙아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르네 카를 빌헬름 요한 요제프 마리아 릴케다. 릴케의 어머니는 릴케의 이름을 프랑스식으로 르네Rene라 짓고, 여섯 살까지 딸처럼 키웠다. 열한 살에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지만 적응하지 못한다. 이후 로베르트 무질의 첫 장편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의 배경이 되는 육군고등사관학교로 옮기나 결국 자퇴한다.

  1895년 프라하대학에 입학하고서 1896년 뮌헨으로 대학을 옮기는데, 뮌헨에서 릴케는 운명의 여인 루 살로메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평생 시인으로 살겠다고 결심한다. 살로메의 권유로 르네를 독일식 이름인 라이너로 바꿔 필명으로 사용한다. 1901년 조각가 클라라 베스트호프와 만나 결혼한다. 1902년 파리에서 로댕을 만나 그를 평생의 스승으로 삼는다.

  클라라와 헤어진 릴케는 로마에 머무르며 《말테의 수기》를 완성하였으며, 이후 1911년에 마리 폰 투른 운트 탁시스-호엔로에 후작 부인의 호의로 두이노 성에서 겨울을 보낸다. 이곳에서 바로 전 세계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게 될 릴케 만년의 대작이며 10년이 걸려 완성할 《두이노 비가》의 집필을 시작한다. 제1차세계대전이 끝나고 릴케는 스위스의 뮈조트 성에 머무는데, 이곳에서 그는 폴 발레리 등과 교유하며 여생을 보낸다. 발레리의 작품을 독어로 번역하고 또 직접 프랑스어로 시를 쓰던 시인은 1926년 백혈병으로 스위스의 발몽 요양소에서 죽는다

 

  20세기 최고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이자 현대 시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릴케는 프라하에서 태어나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섬세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본질, 사랑, 고독, 신과 죽음의 문제를 깊이 파헤친 작품을 남겼으며, 독일 서정시를 완성시켰다는 극찬을 받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기도시집』『형상시집』『로댕론』『신시집』『말테의 수기』『두이노의 비가』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외에 다수의 시, 단편소설, 희곡, 예술론 등 여러 장르의 작품을 썼다.

 

   ■릴케의 시선으로 로댕의 작품을 만나다

     woojukaki | 2010-07-06

  명성을 얻기 전 로댕은 고독했다.그리고 나서 찾아온 명성은 아마도 그를 더 고독하게 했을 것이다.명성이란 결국 하나의 새로운 이름 주위로 몰려드는 오해들의 총합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릴케가 로댕의 작업실에서 조수를 했다고?

  로댕전을 관람하면서 알게 된 사실이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알았다.조수였다기 보다는 로댕의 자서전을 쓰기 위해 만나게 되였다는 사실을.

  그러나 이 책은 자서전이라기 보다 <로댕론>에 가깝다는 느낌이 든다.

  로댕의 위대한(?) 업적에 대한 일방적인 찬사도 없다.철처히 릴케의 시선으로 해석된 로댕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명성을 얻기전 로댕은 고독했다고 느꼈던 릴케.

  이런 시인의 감성은 무심코 지나칠 법한 로댕의 작품들 앞에서도 여지없이 빛을 발한다.설령 릴케의 마음과는 좀 다르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작품앞에서 그가 풀어 놓는 해석들은 왠지 로댕의 마음도 정말 이러했을지 몰라,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나에게는 조금 특별한(?)다나이드에 대한 작품에 대한 릴케의 해석이란,로댕의 작품으로 감동하는 것인지,그의 글로 내가 감동하는 것인지 혼돈스럽게까지했다.

  어느순간부터는 로댕을 이해하기 보다 릴케의 언어놀이에 빠져드는 기분마저 들었으니..

  이 책을 통해 로댕을 알고자 했던 이들이라면 싱겁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릴케의 시선으로 로댕의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궁금한 이들이라면 퍽 흥미로울 것이다.

  소설도 아닌데,소설처럼 읽힌다.

  <릴케의 로댕>전을 통해 얻게 되는 수확은 제법 있었다.

  스캔들에 휘둘린 로댕으로서의 접근이 아니라,오히려 릴케는 그런 부분을 로댕에 대한 모욕이라 생각했다.(작품들을 예로 들면서..)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로댕의 정신을 만나게 된다.

  이 부분은 <로댕의 모너니티>라는 책을 읽으면서도 조금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릴케라는 시인의 서정적인 언어로 작품을 감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였다.

 후반부에는 그의 연설이 실려있었는데,이 부분에서는 작품을 관람자가 어떻게 바라 보아야 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조각이란 언어를 통해 로댕은 돌 속에 숨어 있는 무수한 이름없는 것들에게까지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었다는 사실은 시인 릴케가 로댕을 존경할 수 밖에 없는 이유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