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詩 이모저모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

금동원(琴東媛) 2021. 4. 13. 23:46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 》

오생근, 조연정 편  | 문학과지성사 |

 

 

○책 소개

지난 40여 년간 한국 현대 시사에 선명한 좌표를 그려온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어느덧 통권 500호 출간을 맞았다. 시리즈 내 전종을 대상으로 기획된 기념 시집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는 초판이 출간된 지 10년이 지나도록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세월에 구애됨 없이 그 문학적 의미를 갱신해온 시집 85권을 선정하여, 편집위원 문학평론가 오생근, 조연정의 책임하에 해당 시집의 저자인 65명의 시인마다 각 2편씩의 대표작을 골라 총 130편을 한데 묶었다.

 

 

○시 속으로

 

어제를 동여맨 편지를 받았다.

늘 그대 뒤를 따르던

길 문득 사라지고

길 아닌 것들도 사라지고

여기저기서 어린 날

우리와 놀아주던 돌들이

얼굴을 가리고 박혀있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추위 환한 저녁 하늘에

                                        -<조그만 사랑 노래> 중에서

                                       - 황동규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1978)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하지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버릴거야

                            - < 바람의 말> 중에서

                            -마종기, 《안보이는 사랑의 나라》, (1980)

 

 

당신......, 당신이라는 말 참 좋지요, 그래서 불러봅니다 킥킥거리며 한때 적요로움의 울음이 있었던 때, 한 슬픔이 문을 닫으면 또 한 슬픔이 문을 여는 것을 이만큼 살아온 상처에 기대, 나 킥킥......, 당신을 부릅니다 단풍의 손바닥, 은행의 두 갈래 그리고 합침 저 개망초의 시름, 밟힌 풀의 흙으로 돌아감 당신......, 킥킥거리며 세월에 대해 혹은 상처 사랑과 상처, 상처의 몸이 나에게 기대와 저를 부빌 때 당신......, 그대라는 자연의 달과 별...... 킥킥거리며 당신이라고......      

                                                                                                   - <혼자가는 먼집> 중에서

                                                                                                   -허수경, 《혼자가는 번 집》 (1992)

 

 

누이야 원래 싸움터였다

바다가 어둠을  여는 줄로 너는 알았지?

바다가 빛을 켜는 줄로 알고 있었지?

아니다 처음 어둠이 바다를 열었다 빛이

바다를 열었지 싸움이었다

어둠이 자그만 빛들을 몰아내면 저 하늘 끝에서 힘찬 빛들이 휘몰아와 어둠을 밀어내는

괴로워 울었다 바다는

괴로움을 삭이면서 끝남이 없는 싸움을 울부짖어왔다

                                                                 -< 제주바다 1> 중에서

                                                               -문충성, <제주바다>, (1978)

 

 

○출판사 리뷰

 

한국문학사 최초 시집 시리즈 500호 돌파
앞으로의 40년을 향한 새로운 시작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 그대가 있다
불을 기억하고 있는 까마득한 석기 시대,
돌을 깨뜨려 불을 꺼내듯
내 마음 깨뜨려 이름을 꺼내가라
- 황지우, 「게 눈 속의 연꽃」에서



한국 시단의 주요 장면을 담아낸 최대 규모 컬렉션

지난 40여 년간 한국 현대 시사에 선명한 좌표를 그려온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어느덧 통권 500호를 돌파하여 기념 시집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를 출간했다. 1978년 황동규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로 시작한 문지 시인선은 시인 211명의 시집 492권과, 시조시인 4명의 시선집 1권, 연변 교포 시선집 1권, 평론가 10명이 엮은 기념 시집 6권 등으로 이루어진 한국 최초, 최대 규모의 시집 시리즈이다. 최근 통쇄 82쇄를 돌파한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에서부터,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통쇄 63쇄), 이성복의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52쇄), 최승자의 『이 시대의 사랑』(46쇄) 등 당대의 굵직한 베스트셀러이자 꾸준한 스테디셀러들을 다종 보유하고 있다. 격동의 역사와 함께 꾸준히 변화해온 문학의 현장 한복판에서 인간과 삶에 대한 본질적 탐문을 참신한 언어와 상상력으로 묻고 답해온 많은 시인들의 뜨거운 열정이 담긴 문학적 ‘사건’으로서 문학과지성 시인선은 2017년 여름 500호를 맞았다.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세계를 향해 나아간 40년의 역사

문학과지성사는 시인선에 100권의 시집이 추가될 때마다 그것을 기념하기 위한 앤솔러지 시집을 출간해왔다. 100호 시집 『길이 끝난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되고』(김주연 엮음, 1990)를 시작으로, 100번대 시집들의 서시序詩만을 묶은 『시야 너 아니냐』(성민엽 정과리 엮음, 1997), 200번대 시집들에서 사랑에 관한 시를 고른 『쨍한 사랑 노래』(박혜경 이광호 엮음, 2005), 300번대 시집에서 ‘시인의 자화상’을 주제로 시인들의 자선작을 모은 『내 생의 중력』(홍정선 강계숙 엮음, 2011)이 차례대로 출간되었다. 시인선이 시작된 지 12년 만에 100호가 출간된 이래, 약 6~8년 주기의 속도로 100권씩 시집이 누적되어왔다. 발문에서 평론가 조연정이 지적했듯, 지난 40년간 한국 사회에서 문학의 위상이, 특히 시의 위상이 어떻게 축소되어왔는지를 생각해보면, 일정 기간 동안 큰 편차 없이 차곡차곡 시집을 출간한 일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크다. 또한 올해 출간된 도서를 포함한 시인선 전체 499권 중 약 88%에 해당하는 439권이 한 회 이상 중쇄되었다는 사실은,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자족적인 수준에 머무른 것이 아닌 독자와 세계를 향해 꾸준히 나아갔다는 증거라고 읽힐 만하다.



시인과 독자가 함께 만든 500번째 책

“이번 시집은 독자가 만든 시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사실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에 실린 130편의 시들은 그것을 아름답고 쓸모 있는 것으로 읽어주는 독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온전히 그 자신의 가능성을 발산할 수 있었던 행복한 시절의 시들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시들이 있었기에 우리는 우리의 삶이 구원될 수 있다는 믿음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으나, 그러한 믿음이 거꾸로 이 시들을 살게 한 것도 사실이다. 문지 시인선이 40년간 500권의 시집을 낼 수 있었던 것은 시와 우리가 철저히 서로에게 의지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 조연정 발문, 「우리가 시를 불렀기 때문에」에서



500번째 시집이자 시리즈 내 전종을 대상으로 기획된 기념 시집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는 초판이 출간된 지 10년이 지나도록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세월에 구애됨 없이 그 문학적 의미를 갱신해온 시집 85권을 선정하여, 편집위원을 맡은 문학평론가 오생근, 조연정의 책임하에 해당 시집의 저자인 65명의 시인마다 각 2편씩의 대표작을 골라 총 130편을 한데 묶었다. 제목은 수록작 중 황지우 시인의 「게 눈 속의 연꽃」의 구절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 그대가 있다”의 일부를 차용하였고, 시와 함께 발문과 시인 소개, 그리고 그간의 시집 목록 등으로 구성하였다.



새로운 시작을 위한 과제들과 함께 선 출발점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시의 위기론까지 논하지 않더라도 시를 읽는 독자들이 점차 감소되어온 오늘날, 시를 오직 시 쓰는 사람과 문학 애호가 일부에게만 가치 있는 것으로 치부하는 기류도 적지 않다. 또한 많은 예술 종사자들이 겪듯 부족한 사회적 안전망 탓에 시인들의 생존 자체도 위협받는 실정이다. 한편 억압 없는 삶의 가능성을 상징해온 시를 장르 자체로 신비화하거나, 시인 자체를 낭만화하여 누군가에게 억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 일도 뼈아프게 지적되었다. “무용한 것의 쓸모”, 권력과 무관한 존재로서 읽고 쓰는 이들을 해방되게 하는 예술로 오래 함께해온 시는 여러 당면 과제를 안은 채 우리 앞의 시간들을 치열하게 살아나가야 할 것이다.


“문학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문학과 사회의 복잡한 연관을 추적한다는 문지의 고유한 특징”(문학평론가 정과리)을 살리면서도 “전위의 언어로 최극단의 세계를”(시인 이원) 이루어낸 [문학과지성 시인선]은, “당분간 시의 가능보다 시의 무능이 더 많이 증명되더라도, 오로지 시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사실이 쉽게 증명되지 못하더라도” “오래도록 살아남아 스스로 자신의 역사를 갱신하고 결국에는 시의 가능을 증명하는 일을 하길 희망한다”(문학평론가 조연정). 앞으로의 40년, 새로운 500권의 시집으로 시를 통해 ‘누군가의 삶이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다는 믿음’이 지켜질 수 있길 기대한다.


추천사

사실 『내가 그대를 불렀기 때문에』에 실린 130편의 시들은 그것을 아름답고 쓸모 있는 것으로 읽어주는 독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온전히 그 자신의 가능성을 발산할 수 있었던 행복한 시절의 시들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시들이 있었기에 우리는 우리의 삶이 구원될 수 있다는 믿음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으나, 그러한 믿음이 거꾸로 이 시들을 살게 한 것도 사실이다. 문지 시인선이 40년간 500권의 시집을 낼 수 있었던 것은 시와 우리가 철저히 서로에게 의지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 조연정 발문, 「우리가 시를 불렀기 때문에」에서

'詩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의 꽃  (0) 2021.05.28
근대여성작가선  (0) 2021.05.05
완벽한 날들/ 메리 올리버  (0) 2020.12.10
2020 노벨문학상, 미국 여성 시인 루이즈 글릭 수상  (0) 2020.10.10
천사의 탄식 /마종기  (0) 20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