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인물 산책

멜라니 사프카(Melanie Safka)

금동원(琴東媛) 2024. 1. 29. 15:50

멜라니 사프카(Melanie Safka, 1947년 2월 3일~2024년 1월 23일)는 미국의 가수이다.

 

뉴욕주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무명 그룹의 연주인이었고 어머니는 블루스 및 재즈 가수인 음악 가정에서 성장하였다. 16세 때부터 카페나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그녀는 한동안 연극을 공부하기도 하였다. 1969년에 앨범 《Born To Be》를 발매하였고 1970년에 앨범 《Candles In The Rain》을 발표하여 〈Lay Down〉이 인기를 얻었다. 1971년 작 〈Brand New Key〉와 1972년 작 〈Nickel Song〉, 1973년 작 〈Saddest Thing〉은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위키백과 참조)

 

‘더 새디스트 싱’ 부른 美여성 포크가수 멜라니 사프카 별세

 

멜라니 사프카. AP=연합뉴스


‘더 새디스트 싱’(가장 슬픈 일)으로 한국에서도 유명한 미국 여성 포크가수 멜라니 사프카가 지난 23일(현지시간) 7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테네시주 내슈빌 근교에 거주했던 고인의 사망 소식은 자녀들이 고인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뉴욕시 퀸즈에서 태어나 10대때부터 카페 등에서 노래를 부르던 고인은 22세때인 1969년 반전과 히피 문화를 대표하는 음악 축제 우드스탁 페스티벌에서 혜성같이 등장했다.

평화와 인권 옹호의 메시지를 노래에 담아온 고인은 1972년 빌보드 최우수 여성 보컬리스트상을 받는 등 1970년대 전성기를 구가했고, 이후 2010년대까지 계속 신곡 녹음과 라이브 공연을 이어갔다.

 

‘브랜드 뉴 키’, ‘피스 윌 컴’, ‘레이다운’ 등을 자국에서 크게 히트시켰지만 한국에서는 애절한 보컬의 1971년 발표곡 ‘더 새디스트 싱’이 그녀의 대표곡으로 널리 사랑받았다.

그는 2006년 방한해 임진각에서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간이 콘서트를 했다. 또 한국전쟁 정전 55주년의 해였던 2008년에는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의 옛 철원노동당사 앞에서 공연했다.

이지영(lee.jiyoung2@joongang.co.kr)

 

 

https://youtu.be/B8eja2tB1Gw?si=70Z_XBhcwkh

 

 

the saddest thing (이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일) -멜라니 사프카

 

And the saddest thing under the sun above

이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일은

Is to say good-bye to the ones you love

사랑하는 사람에게 이별을 말하는 것이에요

All the things that I have known

내가 알아왔던 모든 것들

Became my life, my very own

내 인생의 전부가 되어버렸어요

 

But before you know you say good-bye

그러나 당신이 이별을 말하기 전

Oh, good time good-bye,

오~행복한 시간이여 이젠 안녕

 

It's time to cry

울어야 하겠지만

But I will not weep nor make a scene

난 울거나 내색하지 않겠어요

 

Just say, "Thank you, life, for having been"

단지 '함께한 시간이 고마웠어요'라고 말할뿐

And the hardest thing under the sun above

저 태양아래 가장 슬픈 일은

Is to say good-bye To the ones you love

사랑하는 당신에게 이별을 말하는 것이에요

 

No I will not weep nor make a scene

난 울거나 내색하지 않겠어요

I'm gonna say, "Thank you, Life, for having been"

'함께한 시간이 고마웠어요'라고 말할뿐

And the loudest cry under the sun above

그리고 저 태양아래 가장 슬픈 일은

Is to silent good-bye From the ones you love

사랑하는 당신의 말없는 이별이지요.

Ah~ Ah~Ah~ Ah~Ah~ Ah~

아~아~아~아~아~아~아~

 

'인물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어령 1934-2022  (0) 2022.03.01
르네 마그리트 (1898~1967)  (0) 2019.03.16
이어령의 신년 메시지  (0) 2019.01.08
'광장'의 최인훈 작가 별세  (0) 2018.07.24
■옥타비아 버틀러(1947~2006)  (0) 2018.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