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세상 이야기

한강, 한국인 최초 맨부커상 수상

금동원(琴東媛) 2016. 5. 17. 09:26

소설가 한강, 한국인 최초 맨부커상 수상


만장일치 심사평 “압축적, 격렬하고, 충격적인 소설” 한강 맨부커상 수상

입력 2016.05.17 (07:34) | 수정 2016.05.17 (08:37) 인터넷 뉴스 | VIEW 1,726

만장일치 심사평 “압축적, 격렬하고, 충격적인 소설” 한강 맨부커상 수상                 


       
  소설가 한강(46)씨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 3대 문학상 가운데 하나인 맨부커상을 수상했다.

  맨부커상선정위원회는 16일 저녁(현지시간) 영국 런던 빅토리아앤알버트 박물관에서 열린 공식 만찬 겸 시상식에서 소설 '채식주의자'를 쓴 한강 씨와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 씨를 2016년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수상자로 발표했다. 두 사람은 상금으로 5만 파운드(한화 약 8600만원)를 함께 받았다.

  한국인이 국제 권위의 문학상을 수상한 것은 처음으로, 영어권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맨부커상은 노벨문학상, 프랑스 공쿠르상과 함께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힌다.

  한강 씨는 지난 3월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후보 13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된 데 이어 지난달 6명의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함께 최종 후보에 오른 작가들로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터키의 오르한 파무크를 비롯해 중국의 옌렌커, 앙골라의 호세 에두아르도 아구아루사, 이탈리아의 엘레나 페란트, 오스트리아의 로베르트 제탈러 등이다.
심사위원들은 13명 가운데 6명의 후보를 추린 숏리스트를 결정한 뒤, 최종 수상작을 발표했다. 한강 씨의 소설 <채식주의자>는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르한 파무크를 제치고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수상작으로 결정됐다.

  심사위원장은 다음과 같은 심사평을 내놓았다.

  <다양하면서도 탁월한 작품들 사이에서 우리는 6개의 작품을 골랐습니다. 그리고 초벌 번역본으로 본 진정으로 탁월한 6개의 작품들 가운데에서 심사위원들은 만장일치로 <채식주의자>를 수상작으로 결정했습니다. 3명의 목소리로 서사되고, 3명의 다른 관점에서 쓰여진 이 소설은 간결하면서도 불안정하고, 아름답게 쓰여진 이야기입니다. 소설은 평범한 한 여성이 그녀를 가정에, 그리고 가족과 사회에 옭아매는 모든 관습과 추측을 거부하는 궤적을 따라갑니다. 서정적이면서도 동시에 날카로운 문체로 소설은 여주인공의 거부가 여주인공 스스로와 그녀를 둘러싼 주변인들에게 미치는 충격을 그려냅니다. 짧으면서도, 격렬하고, 충격적인 이 책은 독자들의 마음 속에 오랫동안 각인돼, 아마도 꿈에까지 남을 겁니다. 번역자인 데보라 스미스 씨는 완벽한 번역을 통해 소설 매 순간 순간의 아름다우면서도 공포스러운 기묘한 혼합을 전달했습니다.>

  <아제아제 바라아제>로 유명한 소설가 한승원 씨의 딸인 한강 씨는 1970년 광주에서 출생했다. 1993년 연세대 국문과를 졸업한 한강씨는 같은 해 ‘문학과사회’ 겨울호에 ‘서울의 겨울’ 등 시 4편이 당선되며 시인으로 먼저 등단했다. 이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붉은 닻’이 당선되며 소설가로도 활동을 시작했다. 지금까지 장편소설 6권, 소설집 3권, 시집 1권을 발표했으며 2005년 이상문학상, 2010년 동리문학상, 2015년 황순원문학상을 수상했다. 1988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아버지와 함께 부녀가 나란히 수상한 최초의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현재 서울예술대에서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녀는 2014년 5월 광주를 정면으로 다룬 ‘소년이 온다’를 통해 대중에 이름을 알렸다. 기존 광주를 다룬 소설과 달리 한강 씨는 사망자들에 빙의하는 방식으로 광주를 기록해, 죽은 자들의 목소리로 광주를 살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소년이 온다’는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보라 스미스의 번역으로 1월 영국에서 출간(영문명 ‘HumanActs’)되며 채채식주의자 못지 않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인간은 아우슈비츠 대학살을 저지를 수 있는 존재인 동시에 지하철 선로에 떨어진 아이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던지기도 하는 존재”라며 자신의 소설을 “긴 질문으로 읽어달라”고 독자들에게 부탁한 바 있다.



문학 한류', 결국은 번역에 달렸다

【서울=뉴시스】등록 일시 [2016-05-17 11:14:07]


                      

  【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한국 작가로는 처음으로 한강(46)이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로 꼽히는 '맨 부커상'의 인터내셔널 부문을 받은 데는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28)의 공이 크다.

  이번에 한 작가와 스미스에게 공동으로 맨부커상 인터내셔널을 거머쥐게 한 연작소설 '채식주의자'는 시적이고 몽환적인 언어가 다분하다. 2007년 출판사 창비를 통해 출간된 이후 한국 독자에게도 난해한 소설로 꼽혀왔다.

  스미스는 지난해 1월 영국 포르토벨로(Portobello) 출판사를 통해 '채식주의자'의 영어 번역본을 출간했다. 그런데 그녀가 한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운 건 7년에 불과하다.

  2009년 케임브리지 대학 영문학 전공 후 비로소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접했다. 한국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기에 "신비스럽고, 그래서 매력적"이었다고 생각한 스미스는 런던대학교 SOAS의 한국학 석사과정을 시작했다

 스미스가 느낀 한국에 대한 신비스런 매력이 '채식주의자'가 지니고 있던 시적인 언어, 몽환성과 맞물리며 극적인 번역 효과를 낸 셈이다.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심사위원장인 보이드 톤킨은 '채식주의자'의 영어번역판을 "놀라운 번역"으로 평했다. "작가와 번역작가를 완전히 동등하게 평가한다는 점에서 기묘하면서도 뛰어난 '채식주의자'가 영어에 들어맞는 목소리를 찾았다"는 것이다.

  스미스는 현지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한국문화와 전혀 연관이 없었다. (한국어 공부를 시작하기 전) 한국 사람을 만나본 적도 없었던 것같다. 하지만 나는 독서와 글쓰기가 합쳐진 번역가가 되고 싶었다.그래서 언어를 배우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국문학을 번역해 해외에 소개하는데 주요한 역을 맡고 있는 곳은 한국문학번역원의 번역아카데미다. 국내 유일의 전문 문학번역가 양성 기관이다.

  매해 영, 불, 독, 서, 노어권에서 한국문학 번역가를 지망하는 원어민 학생들을 초청, 2년의 정규과정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부여하고 있다.

  2002년부터 배출된 졸업생 500여 명 중 벌써 몇몇은 번역가로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번역 아카데미 출신인 이르마 시안자 힐 야네스가 스페인어로 번역한 구병모의 '위저드 베이커리'는 멕시코에서 젊은 세대들에게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역시 아카데미 출신인 소라 킴 러셀(Sora Kim-Russell)이 영어로 번역한 배수아의 '철수'는 미국 펜(PEN) 번역상 최종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또 프랑스어권 졸업생들의 번역실습 결과물을 모아 출판한 한국 현대 단편 모음집 '택시 운전기사의 야상곡'은 노벨상 수상작가 르 클레지오의 상찬을 받기도 했다.

  김성곤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은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좋은 한국문학 작품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좋은 번역가의 양성과 확보"라며 "맨 부커 인터내셔널 상이 번역가에게 작가와 동일한 상금과 대우를 하는 것은 그만큼 번역이 어렵고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실제 2005년 신설된 맨 부커 인터내셔널상 부문은 원작의 언어와 상관 없이 영어로 널리 읽히는 작가의 공을 기리는 취지에서 설립됐다. 올해부터는 번역상의 의미도 포함했다. 영어로 번역, 영국에서 출간된 작품에 상을 수여한다. 그 첫 해에 한 작가가 상을 받아 의미가 크다.

  스미스는 이런 흐름에 발을 맞춘 번역가이기도 하다. 박사과정을 끝낸 뒤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언어로 쓰인 소설을 영역으로 출간하는 비영리 출판사 틸티드 악시스를 설립, 연간 대략 네 편의 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 출판사는 한국문학번역원과 업무협약을 체결, 한국문학 3종을 시리즈로 내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스미스 외에 아직까지 눈에 띄는 번역가가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김 원장은 "우리가 알고 있는 가와바타 야스나리, 모옌, 오르한 파묵 등 아시아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가독성이 뛰어난 원어민 전담 번역가들을 통해 작품성을 획득하여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며 "따라서 한국문학 전문가 양성은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사안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alpaper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