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원 시인의 TISTORY

이 곳은 시인의 집! 문학과 예술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 말합니다

금동원의 우연의 그림 앞에서

책 이야기

내면의 침묵

금동원(琴東媛) 2021. 4. 17. 08:17

 

《내면의 침묵》 -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이 찍은 시대의 초상

-장 뤽 낭시 저/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사진/김화영 역  | 열화당

 

○책소개

2004년 타계, 20세기의 가장 영향력있는 사진가 카르티에 브레송의 초상사진집으로, 파편적으로만 알려져 왔던 카르티에 브레송의 사진세계를 재조감하게 한다. 그의 사진은 한 시대의 관찰자로서 그가 포착해낸 사유의 이미지이자 내면의 독백이다.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이 찍은 시대의 초상'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브레송 재단 소장품들로 제작한 첫 번째 책이다. 브레송이 1931년에서 1999년까지 촬영한 총 94컷의 초상사진을 엄선해 묶은 것으로, 한 세기의 정신을 움직였던 석학과 문화예술계 인사들, 그리고 이름 없는 사람들의 영원한 찰나의 시선을 포착한 사진들을 모았다.

라이카 카메라를 자신의 눈의 연장이라고 생각했던 브레송. 스스로는 자신의 사진을 이렇게 말한다. "나는 무엇보다 내면의 침묵을 추구한다. 나는 표정이 아니라 개성을 번역하려고 노력한다." 한편 소설가 트루먼 커포티는 그를 가리켜 '라이카를 눈에 딱 붙인 채 즐거운 열의와 그의 온 존재를 가득 채우는 종교적 열정으로 찰칵찰칵 셔터를 눌러대기로 결심한 광란하는 잠자리'같았다고 묘사했다.

브레송의 시선은 항상 인물의 시선과 팽팽하게 맞서 정지된 채로 개성의 편린들을 보여준다. 스튜디오 안에 마주앉아 있는 동안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던 침묵의 소유자 마티스에서부터, 서재에서 입술을 꼭 다문 채 예리한 눈빛으로 뭔가를 뚫어지게 응시하고 있는 사뮈엘 베케트, 앞을 볼 수 없는 두 눈에서 금방이라도 뜨거운 노래가 흘러나올 것만 같은 에디트 피아프 등 '결정적 순간'들의 포화이다.

한편 책의 서두에 실린 큐레이터 아녜스 시르의 글과 세계적인 현대철학자 장 뤽 낭시의 글에서는, 초상사진 속 인물들의 침묵과 공간의 기하학적 시선을 따라가며 잡은 치밀한 사유가 사진과 함께 오랜 여운을 준다. 아울러 브레송 재단이 소장하고 있는 원판 인화작품을 복제하여 정교하게 프린트된 사진들은 전시장에서 사진가의 작품을 직접 대면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해 작품집으로서의 소장 가치를 높인다.

 

○작가 소개

 

◎장 뤽 낭시 (Jean-Luc Nancy) 

프랑스 보르도 근처의 코데랑 출신으로 1968부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 대학에서 철학과 미학을 가르쳤다. 낭시는 독일 낭만주의, 헤겔,니체,하이데거의 철학과 라캉의 사상을 재해석하는 동시에, 독일 낭만주의,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 등 독일사상으로부터 출발해 정치철학과 미학, 예술이론 분야에서 독창적인 사유를 전개했다. 특히 사회주의 몰락 이후에 가능한 공산주의와 공동체의 문제를 급진적으로 다루었으며 이는 동시대의 수많은 사상가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크 랑시에르와 함께 프랑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들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그의 저서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는 국립대학연맹에서 철학분야, 그리고 모리스 블랑쇼 연구소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저서로는 『문자라는 증서』(필립-라쿠 라바르트와 공저, 1973), 『철학의 망각』(1986), 『무위의 공동체』(1986), 『사유의 무게』(1991), 『코르푸스』(1992), 『세계의 의의』(1993),『뮤즈들』(1994), 『복수적 단수의 존재』(1996), 『이미지의 심연 속에서』(2003), 『데클로지옹』(2005), 『작가의 초상』(2005), 『민주주의의 진실』(2008) 등이 있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Henri Cartier-Bresson)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사진가 중 한 사람이다.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여러 예술적 조류들을 접하면서 성장한 그는, 화가가 되기 위해 앙드레 로트의 아틀리에에서 그림 공부를 하기도 했다. 1930년부터 본격적인 사진 공부를 시작, 유럽, 미국, 멕시코, 쿠바, 중동,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지를 여행하며 수많은 사진을 찍었다. 라이카(leica)사진 기술의 대표적인 거장이며 '라이카는 어떤 모티브를 항상 정확히 포착하고 기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카메라'라 극찬하였다. 1947년 '브레송사진집' 을 시작으로 여러 작품집을 출간하였고, 세계 곳곳에서 작품전시회를 개최하였다. 한편, 영화에도 입문하여 「삶의 승리」 「송환」 등의 영화감독을 맡은 바 있으며, 1947년에는 로버트 카파, 데이비드 세이무어, 조지 로저 등과 함께 조합 통신사 ‘매그넘 포토스’를 설립했다. 사진집으로 『결정적 순간』, 『발리 댄스』, 『유럽인』 등이 있다.

 

◎김화영(역자)

문학평론가이자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42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서울대 불어불문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프로방스 대학교에서 알베르 카뮈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뛰어난 안목과 유려한 문체로 프랑스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국내에 소개해 왔으며, 고려대학교 불문학과에서 삼십여 년간 고려대 불문학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 같은 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개성적인 글쓰기와 유려한 번역, 어느 유파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활동으로 우리 문학계와 지성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했고, 1999년 최고의 불문학 번역가로 선정된 바 있다.

 

 

○출판사 리뷰

 

초상사진집과 사진 에세이집, 두 권의 책으로 만나는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20세기의 가장 영향력있는 사진가 중 한 사람이며 매그넘 포토스(Magnum Photos)의 설립자인 앙리 카르티에-브레송(Henri Cartier-Bresson, 1908-2004), 그는 1930년부터 본격적인 사진 공부를 시작해 유럽, 미국, 멕시코, 쿠바, 중동,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지를 여행하며 수많은 역사의 현장을 카메라에 담았고, 일생 동안 위대한 석학, 예술가, 과학자 그리고 이름 없는 사람들의 초상사진을 찍었다.

한편, 그는 1952년 출판인 테리아드의 권유로 자신의 사진집에 「결정적 순간」이라는 유명한 글을 썼는데, 이후 이 글은 우리 시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시학으로,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의 지침서로 널리 읽혀 왔고, 이로써 카르티에-브레송은 예리하고 통찰력있는 비평가로 평가받아 오기도 했다.

2004년 8월 ‘세기의 눈’이라 불리던 사진가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이 95세의 나이로 타계한 후, 한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전시가 잇달았고, 이 거장의 죽음에 세계 언론과 사진계의 포커스가 한동안 집중되었다. 하지만 그 동안 국내에서는 그의 사진집은 물론, 그가 쓴 사진 관련 글이 단편적으로만 소개되었다.(카르티에-브레송이 쓴 글 중에서는 「결정적 순간」만이 1986년 발행된 열화당 사진문고에 실렸었고, 그 밖에는 사진집 1권, 평전 1권이 소개되었을 뿐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선보이는 카르티에-브레송의 초상사진집 『내면의 침묵(Le Silence interieur)』과 사진 에세이집 『영혼의 시선(L'imaginaire d'apres nature)』은, 여태껏 국내 독자에게 파편적으로만 알려져 왔던 카르티에-브레송의 사진세계를 재조감하게 하고, 한 시대의 관찰자로서 그가 포착해낸 사유의 이미지와 내면의 독백을 통해 그에게 더 깊이 다가갈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내면의 침묵』―브레송이 응시한 세기의 초상들, 그 현존과 부재의 시선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이 찍은 시대의 초상’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2006년 1월 18일부터 4월 9일까지 파리의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재단에서 개최한 「합의하에 찍은 피해자들, 그 내면의 침묵」 사진전과 더불어, 브레송 재단 소장품들로 제작한 첫번째 책이다. 브레송이 1931년에서 1999년까지 촬영한 총 94컷의 초상사진을 엄선해 묶은 것으로, 한 세기의 정신을 움직였던 석학과 문화예술계 인사들(시인, 소설가, 극작가, 화가, 조각가, 철학자, 과학자, 음악가, 가수, 배우 등), 그리고 이름 없는 사람들의 영원한 찰나의 시선을 포착한 뛰어난 사진집이다.

라이카(Leica) 카메라를 자신의 눈의 연장(延長)이라고 생각했던 카르티에-브레송. 미국의 소설가 트루먼 커포티(Truman Capote)는 그를 가리켜 “라이카를 눈에 딱 붙인 채 즐거운 열의와 그의 온 존재를 가득 채우는 종교적 열정으로 찰칵찰칵 셔터를 눌러대기로 결심한 광란하는 잠자리” 같았다고 말한다.(p.8) 그에게 초상사진은 “마치 십오 분, 이십 분간의 정중한 방문 같은 것”이었는데(p.9), 당사자와의 이런 정대면한 대화, 침묵 속의 결투 속에서 그가 포착해내려고 한 건 그 ‘순간의 유괴’나 사람들이 흔히 기대하는 ‘시적 동일시’가 아닌, 그 인물의 적나라한 ‘현존(現存)’ 그 자체였다. 동시에 이 사진들은 ‘타자의 시선을 따라가다 딱 정지된 그 자신의 시선’으로서의 카르티에-브레송의 또 다른 자화상적 편린들이라 할 수 있다.

“나는 무엇보다 내면의 침묵을 추구한다. 나는 표정이 아니라 개성을 번역하려고 노력한다.”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p.8.

카르티에-브레송의 시선은 항상 사진 속 인물의 시선과 팽팽하게 맞선 채 정지되어 있으며, 이 사진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각 인물의 개성의 편린들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스튜디오 안에 마주앉아 있는 동안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던 침묵의 소유자 마티스(p.135)에서부터, 침실에서 이제 막 눈을 뜨자마자 입에 문 담배를 손에 쥐고 허공을 바라보는 자코메티(p.31), 어슴푸레 비치는 측광 속에서 부스스한 백발에 주름진 얼굴 사이로 형형한 눈빛이 인상적인 에즈라 파운드(p.53), 서재에서 입술을 꼭 다문 채 예리한 눈빛으로 뭔가를 뚫어지게 응시하고 있는 사뮈엘 베케트(p.151), 초인종을 누르고 문이 열리자마자 카메라에 잡혀 버린 퀴리 부부(p.45), 앞을 볼 수 없는 두 눈에서 금방이라도 뜨거운 노래가 흘러나올 것만 같은 에디트 피아프(p.129), 기지개를 켜는 듯한 자세로 우리에게 부드러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이자벨 위페르(p.91) 등 그는 20세기의 수많은 거장들을 직접 방문해, 그야말로 ‘순식간에’ 그들의 생활공간으로 침투한 저격수와 같이, 누구도 흉내내지 못할 페르소나를 가진 초상들을 여기 표본해 놓았다.

이 책의 서두에 실린 큐레이터 아녜스 시르(Agnes Sire)의 글과 세계적인 현대철학자 장 뤽 낭시(Jean-Luc Nancy)의 글에서는, 초상사진 속 인물들의 침묵과 공간의 기하학적 시선을 따라가며 잡은 치밀한 사유가 사진과 함께 오랜 여운을 던져 준다.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  (0) 2021.05.06
숨결이 바람 될 때  (0) 2021.05.01
너무 아프다 /요제프 어틸러  (0) 2021.04.09
풍경의 깊이 / 강요배  (0) 2021.03.14
독일인의 사랑 / 막스 뮐러  (0) 2021.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