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2018)Roma
감독) 알폰소 쿠아론
주연) 얄리차 아파리시오, 마리나 데 타비라
《로마》는 아카데미상을 받은 감독 겸 작가 알폰소 쿠아론(《그래비티》 《칠드런 오브 맨》 《이 투 마마》)의 어린 시절을 반영한 자전적 작품이다. 멕시코시티 내 로마 지역을 배경으로, 한 중산층 가족의 젊은 가정부인 클레오(얄리차 아파리시오)의 시선을 따라 이야기는 흘러간다. 감독 자신을 키워낸 여성들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담은 이 작품은 1970년대 멕시코의 정치적 격랑 속에서 주인공들이 겪는 가정 내 불화와 사회적인 억압을 생생히 재현한다
<이 투 마마>(2002) 이후 17년 만에 멕시코로 돌아가 제작하는 <로마> 프로젝트가 발표된 순간부터, 알폰소 쿠아론의 신작을 향해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었다. 넷플릭스가 제작을 맡은 이 작품은 이후 칸영화제와의 경쟁부문 출품 마찰로 인해 더욱 큰 화제에 놓이게 되었고, 올해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면서 그 기대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쿠아론이 감독, 각본, 촬영, 편집 모든 분야에 참여한 <로마>는 쿠아론 본인의 경험에 기대어 1970년대 중산층 가정과 가정부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첫 상영 직후, 흑백화면의 고전적 미학과 정교한 사운드 디자인을 통해 영화에서 기대할 수 있는 궁극의 우아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이는 심사위원 전원의 만장일치로 황금사자상을 받는 결과로 이어졌다.
(2018년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백승찬의 우회도로]'로마', 극장에서 봐야할까
백승찬 기자 myungworry@kyunghyang.com
지난 13일 저녁 광화문 씨네큐브에 <로마>(감독 알폰소 쿠아론)를 보러 간 건 완전한 돈낭비였을지도 모른다. 내겐 넷플릭스 아이디가 있고, 몇 시간 후면 넷플릭스에서 <로마>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아이디가 없다 하더라도, 신규 가입하면 첫 한 달은 무료다.)
유명 배우 하나 나오지 않는 1970년대 초반 멕시코 배경의 흑백영화였지만, 객석은 의외로 거의 찼다. 멕시코시티 한 상류층 가정의 가사도우미 클레오가 중심인물이다. 클레오는 의사인 가장 안토니오와 그의 아내 소피아, 아이 4명을 뒷바라지한다. 클레오의 무책임한 남자친구는 임신 소식을 듣자마자 잠적하고, 소피아의 남편 안토니오 역시 외도로 가정을 떠난다. 임신한 클레오와 당황한 소피아는 안간힘을 내 새로운 삶을 받아들이고 살아낸다.
관객은 영화 시작과 함께 곧바로 클레오의 공간으로 깊숙이 초대된다. 3D 안경이나 VR 기어를 쓰지도 않았지만, 마치 클레오와 소피아와 아이 네 명이 곁에서 먹고 자고 살아가는 것 같다. 이 경험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건 소리다. 클레오가 비질하는 소리, 빗물 떨어지는 소리, 개가 짖는 소리, 가족들이 여러 가지 언어로 잡담하는 소리들이 극장 공간 사방에서 들려온다. 배경음악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기에, 이 일상의 소리들은 더욱 주의를 끈다. 음향 시설이 좋은 극장이라면 그 효과가 배가될 것이다. 사람이 고개를 돌려 주위를 살피듯, 카메라의 좌우 패닝샷이 많다는 점도 공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인다.
스마트폰, 컴퓨터, 텔레비전에서 넷플릭스로 <로마>를 보았어도 클레오의 삶의 감각이 전해졌을까. 알 수 없다. 다만 지하철에서 이어폰을 끼고 스마트폰을 볼 때 극장만큼 집중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 개인이 아무리 좋은 음향·영사 시설을 갖췄어도 전문가들이 설계한 극장 관람 환경을 따라잡기는 어렵다. <로마>는 상영시간 135분 동안 관객의 몸과 마음을 온전히 요구하는 종류의 영화다. 자신을 모두 내어주지 않는 관객에게 <로마> 역시 그 감흥을 완전히 제공하지 않는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로마>를 영화관에서 보길 권하고 있다. <베이비 드라이버>의 감독 에드거 라이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이렇게 적었다. “한 가족과 시대에 대한 심오한 연구이자, 몰입할 만한 경험. 극장에서 나오자마자 돌아가고 싶었다. 큰 스크린으로 보길 권한다.”
하지만 지금 한국의 극장에서 <로마>를 보기는 쉽지 않다. 개봉 이틀 뒤 곧바로 온라인 공개하기로 한 제작사 넷플릭스의 방침을 주요 멀티플렉스 극장들이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멀티플렉스들은 극장에서만 수익을 챙길 수 있는 일정 기간 이상의 상영기간(홀드백)을 요구한다. <로마>는 애초 세계 최고 권위의 칸국제영화제 출품을 타진했으나 넷플릭스의 정책 때문에 성사되지 않았다. 결국 <로마>는 넷플릭스 방침에 유연하게 반응한 베니스국제영화제에 출품돼 최고 영예인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로마>뿐 아니라 폴 그린그래스의 <7월22일>, 코언 형제의 <카우보이의 노래>, 오슨 웰스의 전설적인 유작 <바람의 저편>처럼 평소라면 칸의 레드 카펫을 밟을 만한 넷플릭스 작품들이 다른 영화제에서 상영됐다. 대자본·뉴미디어의 편리함을 내세운 넷플릭스와 극장 수익·전통적인 극장 경험을 내세운 영화관·영화제의 힘겨루기가 이어지고 있다.
영화관에 간다는 것은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자신을 속박시키고, 낯선 사람들과 부대껴야 하는 일이다. 그래서 꽤 굳은 마음을 먹어야 하는 일이다. 하지만 나는 많은 관객이 긴장 속에 침묵하며 어둠 속의 커다란 스크린을 주시하는 극장을 경험하면서 자라온 세대다. 다이아몬드가 귀하게 여겨지는 건 그 자체에 내장된 가치 때문이 아니라, 단지 드물기 때문이다. 난 지금 이 글을 쓰는 순간에도 몇 번의 클릭으로 <로마>의 한 장면을 재생할 수 있다. 이 편리함이 반가우면서도 낯설다.
기술 발달의 도저한 물결은 한 인간의 취향 같은 것은 쉽게 휩쓸고 지나간다. 강력한 시네필인 정성일 감독·평론가조차 경향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변화하는 플랫폼은 내가 반대한다고 해서 오지 않을 것도 아니고, 환대한다고 해서 꼭 긍정적인 것도 아니다. 스스로 영화를 선택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이 시네마테크, 영화제의 프로그래머가 됐다. 플랫폼은 하나로 정리되지 않을 것이고, 경계는 희미해질 것이다.”
난 <로마>를 극장에서 보길 잘했다고 생각하지만, 극장 관람 경험을 특권화할 생각은 없다. 넷플릭스는 이용자에게 종래 방식으로는 만나기 어려웠던 빼어나지만 독특한 작품들을 소개했고, 창작자에게는 권한을 최대한 보장함으로써 마음속의 프로젝트를 꺼내들 수 있게 했다.
이제 무엇이 영화이고, 영화가 아닌지 결정해주는 사람은 없다. 백가쟁명하는 미디어가 저마다의 장점을 내세워 이용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으니, 그 과정에서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쉽게 사라지지 않길 바랄 뿐이다. 자본의 이해가 아니라, 이용자의 경험에 민감한 미디어가 부흥하길 바랄 뿐이다,(출처:경향신문 & 경향닷컴)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버나움(Capernaum, 2019) (0) | 2019.01.17 |
---|---|
미스터 스마일 (2018) (0) | 2019.01.06 |
Itzhak의 행복한 바이올린(2018) (0) | 2018.12.05 |
새벽의 약속 (2017) (0) | 2018.12.02 |
마틸다: 황제의 연인 (2017) (0) | 2018.11.24 |